카테고리 없음

TOPIK Level 1 vs Level 2 – 차이점, 문제유형, 합격전략

읽다 보면 2025. 4. 24. 02:21
반응형

 

TOPIK I or II? 당신의 선택은? 문구가 정중앙에 배치된 한국어 능력시험 선택 가이드 썸네일 이미지
TOPIK 레벨1과 레벨2 비교 – 당신의 선택은?

 

한국어 능력시험 TOPIK은 I (1~2급)II (3~6급)로 나뉩니다. 처음 준비하는 분들은 어떤 시험을 응시해야 할지 헷갈리기 쉽죠. 이 글에서는 두 시험의 차이점과 문제 유형, 합격 전략을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

시험 구성 및 난이도 비교

  • TOPIK I: 초급 대상 – 문장 이해, 간단한 생활 표현 중심
  • TOPIK II: 중~고급 대상 – 에세이 작성, 기사 해석, 논리적 사고 필요

TOPIK I은 기본적인 단어 및 문법을 이해하고, 짧은 지문을 읽거나 일상적인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지를 평가합니다. 쓰기 영역은 없으며, 듣기와 읽기 총 70문항이 출제됩니다. 특히 읽기 파트는 문장의 의미 파악과 간단한 문법 지식이 중요합니다.

TOPIK II는 쓰기 영역이 추가되어 있으며, 복합적인 언어 능력이 요구됩니다. 듣기 파트는 실생활 상황부터 뉴스·강의 형식까지 다루며, 읽기 영역은 신문 기사, 안내문, 학술적 글 등 다양한 텍스트가 출제됩니다. 쓰기 영역은 문장 완성형(문항 51번)단락 서술형(문항 52번), 주제 에세이(문항 53번, 약 600자 이상)으로 구성되며, 사고력과 논리 전개 능력까지 평가합니다.

TOPIK II는 단순 암기가 아닌, 실용적 문장 구성과 주제에 대한 견해 표현 능력이 핵심이므로, 단어 외우기보다는 쓰기 훈련이 매우 중요합니다.

시험 구성 및 난이도 비교

TOPIK I은 초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시험으로, 짧은 문장 이해, 기초 문법, 일상 대화 표현 등을 중심으로 평가합니다.
총 70문항(듣기 30문항, 읽기 4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쓰기 시험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반면 TOPIK II는 중급 이상 수준의 한국어 실력을 검증하는 시험으로, 뉴스·기사 해석, 공식 문서 이해, 논리적 사고를 요하는 에세이 작성까지 요구됩니다.
특히 쓰기 영역에서는 문장 완성(51번), 단락 구성(52번), 그리고 **주제 에세이(53번, 약 600자 이상)**로 구성되어 있으며, 어휘력, 문장 구성 능력, 사고 전개 능력이 종합적으로 평가됩니다.

점수 기준과 합격 등급

  • TOPIK I: 100점 만점 – 1급(80점 이상), 2급(140점 이상)
  • TOPIK II: 300점 만점 – 3급(120점), 4급(150점), 5급(190점), 6급(230점 이상)

TOPIK 1급부터 6급까지 점수 기준과 등급 조건을 정리한 고화질 인포그래픽 이미지, 2x2 그리드 형식으로 구성됨

각 영역에서 최소 점수를 넘겨야 해당 등급이 인정되므로, 특정 파트만 잘 보아도 합격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유학/취업/영주권별 필요 등급

  • 대학 입학: 대부분 3급 이상 필요, 일부는 4급
  • 취업 비자: 4급 이상 (K-ETA, E7 등 비자 지원)
  • 영주권/귀화: 보통 4급 이상 필요 (사회통합 프로그램 대체 가능)

일부 장학금 신청이나 국립대 입학 시에는 TOPIK 성적이 필수이므로, 목적에 맞는 등급을 목표로 공부해야 합니다.

공부 전략 추천 – 나에게 맞는 방법은?

  1. TOPIK I: 단어 암기, 듣기 파일 반복, 문장 패턴 암기 중심
  2. TOPIK II: 논리적 쓰기 연습, 기사 읽기, 뉴스 듣기 병행

TOPIK I과 II를 위한 맞춤형 공부 전략을 정리한 고화질 인포그래픽 이미지, 쓰기·듣기·문제 유형별 핵심 포인트 시각화

TOPIK I을 준비하는 경우,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표현과 필수 단어 위주로 공부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듣기 파일을 반복 청취하며, 질문에 따라 선택지를 빠르게 파악하는 연습이 효과적입니다. 자주 출제되는 문법 패턴을 암기하고, 기출문제를 꾸준히 풀어보며 실전 감각을 익히는 것도 중요합니다.

TOPIK II는 단순한 언어 지식보다는 사고력과 응용력을 평가하기 때문에, 기사를 읽고 요약하거나, 한 가지 주제에 대해 자신의 견해를 논리적으로 정리하는 연습이 필수입니다. 쓰기 영역은 고득점을 위해 반드시 대비해야 할 핵심 영역으로, 문항 51~53번 각각의 유형에 맞춰 전략을 세워야 합니다.

예를 들어, 문항 51번은 문장을 문법에 맞게 자연스럽게 완성하는 훈련이 필요하며, 문항 52번은 주어진 조건에 따라 단락을 구성하는 능력을 키워야 합니다. 문항 53번은 주제형 에세이로, 600자 내외의 글을 구성력 있게 작성해야 하므로, 도입-전개-결론의 구조와 논리적 흐름을 갖춘 글쓰기 연습이 필수입니다.

시험에 대한 부담을 느끼기보다는, 매일 20~30분이라도 반복 학습하는 루틴을 만드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전략입니다. 특히 쓰기 실력은 단기간에 향상되기 어렵기 때문에, 자신이 쓴 글을 다른 사람에게 첨삭받거나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피드백을 받는 것도 큰 도움이 됩니다.

지금 시작하면, 당신도 충분히 해낼 수 있습니다. 작지만 꾸준한 반복이 TOPIK 합격의 가장 확실한 길입니다.

 

반응형